본문 바로가기
IT 뉴스

이재명 정부의 AI 공약과 세계 흐름 비교: 한국은 어디쯤에 있을까?

by Editor_Yun 2025. 6. 23.

국가 AI 전략의 핵심은 기술 주권 확보와 글로벌 경쟁력이다.
이재명 정부의 AI 공약은 과연 세계 트렌드에 맞는 방향일까?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은 글로벌 트렌드와 얼마나 부합할까?


이재명 정부가 제시한 인공지능(AI) 정책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대비하는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주요국의 AI 투자와 정책 방향과 비교했을 때, 과연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 분석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주요 AI 공약을 요약하고, 미국·중국·EU 등과 비교하여 한국의 현재 위치와 미래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AI R&D 투자: 예산 규모와 기술 집중도

이재명 정부는 AI 분야 연구개발(R&D)에 5년간 10조 원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이에 반해 미국은 ‘CHIPS and Science Act’를 통해 AI 및 반도체 분야에 총 2800억 달러를 투입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을 통해 AI 산업 전반에 국가 차원의 집중 지원을 진행 중입니다.

국가주요 AI 투자 정책연간 투자 규모
한국 10조 원 (5년) 약 20억 달러
미국 CHIPS 법안 2800억 달러
중국 차세대 AI 발전계획 연간 50억 달러 이상
 

핵심: 한국의 투자 규모는 절대적으로 작지만, 집중도 높은 분야별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인프라: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관건

데이터는 AI 산업의 뿌리입니다.
이재명 정부는 공공 데이터 1000종 개방, AI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이미 Data.gov를 통한 수십만 건의 공공데이터 개방을 실시하고 있으며
EU는 **데이터 거버넌스 법안(DGA)**을 통해 범유럽 AI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추진 중입니다.

"AI 성장은 곧 데이터 주권의 확보에서 시작됩니다."

핵심: 양적 개방보다 질 높은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 체계 마련이 필수입니다.


AI 윤리와 규제: 세계는 ‘가이드라인’에서 ‘실행체계’로 이동 중

이재명 정부는 AI 윤리 기준 수립과 법제화를 강조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시행 일정과 규제 체계는 아직 미비합니다.

반면, EU는 2024년부터 세계 최초의 ‘AI 법안(AI Act)’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미국도 NIST 기준을 기반으로 AI 신뢰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도입했습니다.

항목한국EU미국
윤리 가이드라인 수립 중 법제화 완료 실행 가이드라인 존재
실행력 중간 매우 강함 중간~강함
 

중요: 규제보다는 ‘신뢰할 수 있는 AI’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산업계 도입이 중요합니다.


인재 양성 전략: 양보다 ‘질’로 가야 한다

정부는 AI 전문인력 10만 명 양성을 추진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쟁에서는 단순 수치보다 국제 수준의 고급 인력 양성이 관건입니다.

MIT·스탠포드 등은 AI 분야 박사·석사 과정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으며
중국은 AI 명문대 프로젝트를 통해 중앙정부가 인재 배치까지 직접 개입합니다.

"숫자가 아닌 실력 있는 인재 한 명이 생태계를 바꿉니다."

핵심: 한국도 현장 맞춤형 고급인재 양성과 기업 연계형 교육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입니다.


AI 산업 생태계: 대기업 중심 vs 스타트업 활성화

현재 한국의 AI 산업 구조는 대기업 주도, 스타트업 연계 부족의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창업 지원 펀드 및 AI 벤처 생태계 확대를 공약했지만

미국과 중국은 이미 AI 유니콘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세금 감면, 민간 투자 유도 시스템이 작동 중입니다.

국가스타트업 수유니콘 수지원 체계
한국 700여 개 8개 중기부 중심
미국 5000여 개 150개 이상 민간 투자 주도
중국 2000여 개 70개 이상 정부+민간 혼합
 

핵심: AI 스타트업의 규제 완화와 초기 투자 지원이 산업 성장의 열쇠입니다.


디지털 주권: AI 칩, OS, 플랫폼까지 독립 가능한가?

이재명 정부는 AI 반도체 개발 및 국산화율 제고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AI 플랫폼, OS, 클라우드 등 핵심 기술은 여전히 해외에 의존하는 상황입니다.

"디지털 자립은 곧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AI 칩부터 운영체제, 플랫폼까지 기술 자립을 위한 장기 계획이 필요합니다.

핵심: 기술 수입보다 핵심 기술 내재화와 국산 생태계 확대가 필요합니다.


결론: ‘속도’보다 ‘방향’이 더 중요하다

한국은 AI 기술력이나 R&D 수준에서 절대적으로 밀리는 상황은 아닙니다.
하지만 글로벌 트렌드는 단순 기술 개발을 넘어, 생태계·윤리·데이터 거버넌스까지 통합적 접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공약은 방향성은 긍정적이나, 실행력과 민간 연계에서 보완이 필요합니다.
"기술만이 아닌, 사람과 데이터, 시스템이 어우러져야 진정한 AI 강국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