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도움 정보

전통시장과 일반 가맹점, 신용카드 공제율의 차이는?

by Editor_Yun 2025. 6. 21.

전통시장 이용 시 세금 혜택이 더 클까?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소득공제를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는
사용처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전통시장과 일반 가맹점에서의 사용은
공제율 측면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곳의 공제율을 비교하여
어떤 상황에서 더 큰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안내드립니다.


전통시장 사용 시 공제율과 한도는?

전통시장에서 신용카드 등을 사용할 경우
소득공제율은 40%로 매우 높습니다.
이는 일반 가맹점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로,
연간 한도는 100만 원까지 공제됩니다.
국세청이 지정한 전통시장에서만 적용되므로
공제 대상 시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 가맹점 사용 시 공제율은?

일반적인 음식점, 마트, 쇼핑몰 등에서 사용한 신용카드는
공제율이 15%에 불과합니다.
단, 일반 사용의 경우에도 일정 한도 내에서 공제가 가능하며,
총 급여의 25% 초과 사용액에 대해서만 공제가 적용됩니다.
즉, 사용 금액이 많지 않으면 큰 효과를 보긴 어렵습니다.


공제율 비교표로 한눈에 정리

아래 표는 신용카드 사용처별 소득공제율을 정리한 것입니다.

사용처 종류공제율공제 한도
전통시장 40% 100만 원
대중교통 40% 100만 원
도서/공연 등 30% 100만 원
일반 가맹점 15% 총합 한도 내 포함
 

실제 절세 효과는 얼마나 될까?

예를 들어 총 급여가 5,000만 원인 근로자가
전통시장에서 250만 원을 사용했다면
그 중 100만 원까지만 소득공제가 적용되고
공제율은 40%이므로 40만 원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같은 금액을 일반 가맹점에서 사용했다면
공제율이 15%이므로 15만 원만 공제됩니다.


전통시장 이용을 늘려야 하는 이유

"공제율이 높은 곳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절세의 핵심"입니다.
전통시장은 생필품이나 간단한 먹거리, 가정용품 등
일상 소비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장소입니다.
적극 활용하면 세금은 줄이고 지역 경제도 살리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 공제, 이런 점도 확인하세요

공제 대상 전통시장임에도 일부 카드사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아 공제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또는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공제 방식

1년 소비 계획을 세울 때
공제율이 높은 분야부터 우선 소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 전통시장 → 도서/공연 → 일반가맹점 순으로
소비를 계획하면 전체 공제 금액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소비 전략 순서공제율사용 추천 예시
1순위: 전통시장 40% 생필품, 반찬, 과일 등
2순위: 대중교통 40% 정기권, 지하철, 버스
3순위: 도서/공연 30% 공연 관람, 서적 구매
4순위: 일반 사용 15% 백화점, 마트 등
 

결론

전통시장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공제율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금액이 아니라, 어디서 어떻게 쓰는지가 절세의 핵심입니다.
올해는 소비 계획을 세울 때부터 공제율을 고려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