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이나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을 개설하려고 좀 알아보다가 보면 꼭 등장하는 용어들이 있죠. 얼핏 봐서는 무슨 말인지 알 것 같은데 막상 정보를 읽다 보면 무슨 말인지 당최 이해가 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인데요.
"대출을 받으려는데 CD금리, 금융채 금리, COFIX 등 생소한 용어가 많아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어요"라는 사람들도 있고, "가산금리가 떨어졌다는데 그럼 대출금리도 같이 떨어지는 건가요?"라고 물어보는 사람들도 있죠. 우리는 평소 이러한 용어들이 정확하게 어떤 걸 의미하는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통장을 개설하고 대출을 받아 왔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신용한도대출 통장을 개설할 때 기본적으로 나오는 여러 금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출금리에 대한 이해
▼ 대출금리란 무슨 뜻인가요?
보통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를 대출금리라고 합니다.
- (단순계산) 대출금리가 연 10% 일 때 은행에서 원금 1,000원을 1년간 빌릴 경우 납부해야 하는 이자는?
이자 : 원금 1,000원 ×10%=100원
즉, 원금 1,000원에 이자 100원을 합하여 1,10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자, 이제 대출금리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이해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대출금리는 어떻게 결정이 되는 걸까요?
▼ 대출금리 결정 절차
대출금리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결정이 됩니다.
- 대출금리 = 대출 기준금리 + 가산금리
대출금리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대출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알아야 하는군요. 그렇다면 대출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는 무엇일까요?
대출 기준금리에 대한 이해
대출 기준금리 = CD 금리, 금융채금리, COFIX 금리 등
자, 위에 예시로 든 CD 금리, 금융채금리, COFIX 금리가 나왔습니다. 겨우 대출금리에 대해 이해하는가 싶었더니 또 새로운 용어가 나오는군요. 긴장하지 마시고 대출을 예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고정금리와 변동금리가 있습니다. 고정금리는 약정기간동안 금리 변동 없이 처음 계약 시 약정한 금리로 쭉 가는 거고 변동 금리는 일정한 기간 이후 금리가 변동되는 걸 말하는 건데요. 예를 들어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고정금리 : 10년간 연 3% 대출 조건이라면 10년 동안 매년 동일한 이자 3%만 내면 됩니다.
- 변동금리 : (CD 금리, 금융채금리, COFIX 금리) 2% + 가산금리 3% = 5%
단, 시장 금리변동으로 인해 'CD 금리, 금융채금리, COFIX 금리'가 변한다면 그 변동된 금리에 가산금리 3%가 더해져 대출금리가 결정이 되는 방식이죠. CD 금리가 전년도는 2% 였는데 경기가 좋아져서 갑자기 5%가 된다면,
CD 금리 5% + 가산금리 3% 따라서 변동금리는 총 8%가 됩니다.
CD 금리, 금융채금리, COFIX금리가 무엇인가요?
가산금리에 대한 이해
가산금리의 기본적인 뜻
가산금리란 말 그대로 더해지는 금리를 말하는 건데요, 예를 들어 신용점수가 좋고 그동안 대출을 잘 갚은 사람이라면 1%의 가산금리만 받고 반대로 신용점수가 나쁘고 연체이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3%의 가산금리를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가 지난 1997년 국가부도로 인한 IMF 구제금융을 요청했었죠. 부도가 났으니 당연히 신용은 나쁠 테고 기준금리에 가산금리까지 더해서 구제금융을 받아야 했었습니다.
그런데 가산금리는 신용뿐만 아니라 그 외 부가적인 책정요소들이 있습니다.
가산금리 조정 요소 : 리스크 프리미엄, 유동성 프리미엄, 신용 프리미엄, 자본비용, 업무원가, 법적비용, 목표이익률, 부수 거래감면, 본부조정, 영업점장 전결 조정 등
은행의 가산금리 책정 기준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책정요소가 있고 은행마다 가산금리 세부산정방식은 기밀로 취급하고 있어 일반 소비자인 우리는 이러한 정보를 제대로 알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은행에서 무슨 기준을 가지고 어떻게 책정을 했는지에 대해 금융소비자가 제대로 알 수 있도록 정책적인 장치가 마련이 되어야 하는데 아직 갈 길이 요원한 것 같죠.
가감조정금리
가산금리 조정 요소 중 본부조정, 영업점장 전결 조정을 뜻하는 말입니다.
어쨌든 가산금리는 간략하게 말하자면 어떻게든 은행이 돈을 좀 더 벌기 위해 자기네들 마음대로 책정하는 금리인데 좀 더 고상하게 말하자면 은행의 목표이익률과 위험 감수에 따른 수익 등으로 구성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 기준금리에 대한 이해가 있는 상태라면 각 은행의 신용대출금리를 살펴보면서 어디가 가산금리를 높게 책정했구나를 나름대로 파악해 볼 수 있게 됩니다. 우리는 금융소비자로서 조금이라도 더 이익을 보는 쪽으로 생각을 할 수밖에 없으니 평소 열심히 금융 공부를 해야겠죠?
어려운 금융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열심히 콘텐츠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금융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도 및 소득이 낮은 사람들을 위한 대출, 햇살론 알아보기 (0) | 2023.07.05 |
---|---|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 금리 비교 및 개설 방법 (0) | 2023.06.20 |
CD금리 금융채금리 COFIX금리에 대한 설명 (0) | 2023.06.19 |
내 근처 은행 자동화 코너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3가지 방법 (0) | 2023.06.15 |
신용점수 조회 무료로 하는 3가지 방법 (0) | 2023.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