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에서는 일반 가정에서 전기 사용량을 줄인 만큼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서비스를 6월 7일부터 접수를 받는다고 합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기후 위기로 인한 온실가스 감면 등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치솟아 오르는 원유의 가격과 함께 여름을 맞이하여 전기 사용량도 그만큼 솟아오를 것이기에 이러한 정책으로 전기 사용량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하는 게 아닌가 하는데요, 어쨌든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전기 사용량을 줄인 만큼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니 바로 신청해 봅시다!
에너지 캐시백이 무엇인가요?
에너지 캐시백의 기본 정의
2022년 전반기 에너지 캐시백 시범사업을 3개 혁신도시 대상 실시를 하였고 하반기에 전국적으로 확대시행된 정책으로 한전에서 일반 가정과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절감한 사용량만큼 돈으로 돌려주는 서비스 입니다.
에너지캐시백 확대시행
예를 들어, 일반 가정집에서 300 kWh를 절감했다고 하면 '300kWh x 30원/1kWh = 9,000원'의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센티브 확대시행으로 에너지 절감률에 따라 최대 100원/kWh로 무려 70원이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받는 금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에너지캐시백 지급 주기 변경
지금까지는 캐시백 지급 주기가 6개월이었지만 하반기부터는 매월 계산이 되어 이번 달 발생한 캐시백이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이 되는 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캐시백 지급 계산방식
기본적으로 최소절감률(3%) 및 한전 사업소별 평균 절감률 이상 달성한 참여자에게 기본캐시백이 지급이 되며, 그 이상의 성과를 낸 참여자에게는 차등캐시백이 지급됩니다. 둘 다 해당될 경우 합산되어 산정이 되는 방식입니다.
기본 캐시백
기본적으로 최소절감률 3%와 한전 사업소별 평균 절감률 이상 달성일 경우 30원/kWh 지급이 됩니다.
- 절감량 산정 : 과거 2년간 동기간 평균 사용량 - 절감 활동기간 사용량
- 절감률 산정 : (달성 절감량 ÷ 과거 2년간 동기간 평균 사용량) × 100
- 평균절감률 산정 : 한전 사업소별 참여 아파트단지, 개별가정의 전체 절감량을 기준으로 계산
(사업소별 참여자 전체의 총 절감량 ÷ 과거 2년 총 평균사용량)
차등 캐시백
평균절감률과 관계없이 절감률을 5% 이상 달성할 시 30% 이상은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구간별로 30 ~ 70원/kWh이 차등 지급됩니다.
<에너지캐시백 비교>
(원/kWh)
절감률 | 3 ~ 10% 미만 | 10 ~ 20% 미만 | 20 ~ 30% 미만 |
캐시백 | 30원 | 50원 | 70원 |
※ 최대 에너지캐시백 : 기본캐시백 조건과 차등 캐시백
에너지캐시백 신청 대상은?
▶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의지가 있는 전국 일반 가정 중 주택용 전기사용자
▶ [아파트 단지] 고압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관리사무소
- 고압아파트에 거주하는 개별 가정은 가족구성원 중 1인이 신청
▶ [개별가정] 가족구성원 중 1인 또는 전기사용계약자 본인
- 한전 고객번호가 있는 개별 가정은 전기사용계약자 본인이 신청
- 한전과 개별로 전기사용계약을 체결한 주택용(주거용) 및 저압 호별아파트 등 타 한전 소비자 행동변화프로그램과 중복참여 불가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 및 신청 기간
네이버, 다음, 구글 등 포털사이트에서 '한전 에너지캐시백'으로 검색하면 해당 링크가 나오는데요, 별도 신청 기한이 없이 언제든 신청할 수 있으나 늦으면 그만큼 손해기 때문에 바로 알아보는 게 좋겠죠?
※ 한전 사이버지점 아이디로 로그인 후 서비스 신청 가능 또는 2023년 7월 중 한전 지사 방문 신청 가능 예정
여름철이 다가오면서 기온이 더 올라가고 있습니다. 에너지 요금은 자꾸 인상이 되고 있고 전기를 많이 쓰면 누진세도 붙어서 에너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데요. 아무쪼록 이번 한전 사업을 통해 경제적으로 혜택도 보면서 지혜롭게 전기를 사용하는 기회로 삼았으면 합니다.
'좋아요'는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잊지 말고 한 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생활 도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임대사업자 보증보험 의무화 및 미가입자 계약해지 가능 (0) | 2023.06.21 |
---|---|
국비지원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방법 feat. 국민내일배움카드 (0) | 2023.06.21 |
청년층 사업자금 마련을 위한 희망두배청년통장 신청방법 (0) | 2023.06.14 |
재난경보 또는 경계경보발령시 행동요령 공유 (0) | 2023.06.13 |
꿈나래통장 신청방법 공유(쉽게 알려드려요!) (0) | 2023.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