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들을 위한 새로운 정부지원적금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적금은 최대 5천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특전을 제공하며,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근로 중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가입 조건부터 예상 수령액, 혜택과 중복가입 여부 등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근로 중인 만 19세 ~ 34세의 청년들이 대상이며, 개인 소득은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범위에 해당해야 합니다.
단, 총급여 기준 6,000만 원 이상은 정부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그러나 지자체 자산형성상품이나 내일채움공제와는 동시에 가입이 가능하니 참고해 주세요.
만기 시 예상 수령액
청년도약계좌에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할 경우 예상 수령액은 어떻게 될까요? 예를 들어, 매월 70만 원씩 납입한다고 가정하면, 납입 기간 동안의 개인 납입금과 정부 기여금, 그리고 금융기관의 이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자율은 금융기관에 따라 다르며, 약 6%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예상 수령액은 약 4,978만 5천 원이 됩니다. 이러한 식으로 개인의 납입 금액과 예상 이자를 계산하여 수령액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세부 정보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납입하는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이 지원되는 적금 상품입니다. 매월 납입할 수 있는 금액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적금은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참고용)>
개인소득 기준 | 정부기여금(월) | ||
지급한도 | 매칭비율 | 한도 | |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
40만원 | 6.0% | 2.4만원 |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만원 |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만원 |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만원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 | - | - |
▼ 청년도약계좌 주요 특징
- 내가 받는 적금 총액 = 적금액 + 정부기여금 + 은행이자
-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 하면 최대 6% 정부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 혜택
- 중복가입 : 청년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 상품, 복지상품, 고용지원상품과 중복가입이 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은 중도해지 후 순차적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중도해지 :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 시에도 혜택이 주어집니다. 특정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중도해지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가 낸 금액만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망, 해외 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등 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신규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지원적금입니다. 청년들은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확인한 후, 가입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상 수령액은 개인의 납임금액과 이자율에 따라 달라지며,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복가입 가능 여부와 중도해지 시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유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들은 이러한 조건과 혜택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정부지원적금을 선택하여 꿈꾸는 미래를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생활 도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차박 필수품, 휴대용 에어컨 샤오미 미홀 4세대 K1 알아보기 (0) | 2023.07.07 |
---|---|
호주 세계최초 허용! 환각버섯과 엑스터시로 정신질환 치료 길 열리나?! (0) | 2023.07.04 |
[2023년] 임대사업자 보증보험 의무화 및 미가입자 계약해지 가능 (0) | 2023.06.21 |
국비지원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방법 feat. 국민내일배움카드 (0) | 2023.06.21 |
한전 에너지캐시백 혜택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6.15 |
댓글